본문

한번쯤 생각하는 귀촌귀향

귀향은 고려시대에 본관으로 유배하는 형벌이지만 지금의 귀향은 내 마음속의 고향을 그리는 거다 시대의 흐름으로 산업화 전문화되어 기계부품의 톱니바퀴처럼 구르다 보면 마음의 안식처럼 귀향을 생각해 본다. 그래서인지 요즘 들어서 귀어나 귀촌하는 경우가 많은데 도시에서 먹고살기 힘들어 귀향을 회피성 장소로 생각하면 안 될 생각이다 그리고 무장적 귀촌하는 것도 그곳에서 정착하는데 실패요인이 되기에 2-5년을 시간을 두고 차곡차곡 준비를 해야 한다 나이가 많을수록 준비가 더 필요로 한다. 나이를 떠나 각사람들이 귀촌이나 귀어해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나라에서 지원도 많고 교육도 많이 해주니 마음이 있다면 교육이나 지원정책을 잘 이용하면 좋겠다.

 

귀향

귀어귀촌 개념

 

귀어업인 : 농어촌 이외의 지역에 거주하는 어업인이 아닌 사람이 어업인이 되기 위하여 농어촌 지역으로 이주한 사람으로서 아래의 요건을 모두 갖춘 사람
1. 농어촌지역으로 이주하기 직전에 농어촌 외의 지역에서 1년 이상 「주민등록법」에 따른 주민등록이 되어있던 사람이 어업인이 되기 위하여 농어촌지역으로 이주한 후 「주민등록법」에 따른 전입신고를 한 사람
2. 어업인에 해당하는 사람
* 단, 이 지침에서는 어업경영하지 않고 있더라도, 익년도까지 본 자금으로 창업할 자는 어업인으로 봄
 

 

귀어귀촌 절차

  • STEP 01
    정보와 기초지식수집
    수산 관련기관 홈페이지 에서 정보를 모으고, 전화 및 창구를 이용해 전문가와 상담 등을 통해 기초지식을 쌓는다.
     
  •  STEP 02
    관련교육 사전이수 및 현장 체험
    교육기관을 통해 이론과 기술교육을 받고, 어업 (양식업) 체험을 해본다.
     
  • STEP 03
    업종선택
    자신의 여건과 적성, 기술수준, 자본 수준 등에 적합한지 신중하게 검토한 후 업종을 선택한다.
     
  • STEP 04
    기술습득
    실질적인 정보 수집과 현장체험을 통해 한 사이클 정도의 어업 또는 양식업에 참여하면서 확실한 기술을 습득한다.
     
  • STEP 05
    지역선정
    생활여건과 선정된 업종에 적합한 입지조건 등을 고려해 정착지를 물색하고 지역을 선정한다.
     
  • STEP 06
    창업계획수립
    자신이 선택한 업종과 그에 맞는 규모를 고려해 지역의 수산사무소 및 선도어가 등에 조언을 구해 실행 가능한 창업계획을 수립한다.
     
  • STEP 07
    자금확보
    창업자금과 여유 생활 자금을 확보해 둔다. 개인자산 , 국가의 어업인 지원사업 등을 이용한다.
     
  • STEP 08
    어선·양식장 및 주택확보
    성공적으로 어업 또는 양식업에 정착하기 위해 어선 또는 양식장 및 주택 등을 확보한다.
     
  • STEP 09
    사업추진
    중장기 실행사업계획에 따라 행정절차를 마친 후 필요한 시설, 설비를 갖추어 사업을 추진한다.
     
  • STEP 10

       지역주민과의 융화

       마을회의 행사, 공동작업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역할도 맡는 등 적극적인 동참 노력이 필요하다.

       먼저 인사를 하는 등 지연주민들과 교류한다.

 
예전부터 난 농사보다 어업양식에 관심이 많다. 일본이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해 발생한 방사능 오염수 130만 톤을 바다에 방류하기로 결정한 이후 일본 정부와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이 계획이 안전하다고 주장한다는데 난 오염수가 방류하면 한국은 생선은 못먹는다고 생각한다. 수입생선이나 민물생선이 주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방류를 막는게 최선이지만 우리나라가 힘이 없다보니 눈뜨고 코베이는 상황을 올거라는 예측이 틀려으면 좋겠다 미래의 일이니 결과를 기다려보고 내가 어업양식 생각하냐면  어업양식의 기술력도 좋아졌고 앞으로의 발전가능성 높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저처럼 관심이 많다면 교육을 받아보고 결정은 그때 생각해도 늦지 않으니 관심 있는 사람들은 교육을 받아보는 것도 방법이다

자세한 사항은 사이트에서 이용하면 되겠습니다. 귀어귀촌 종합센터 https://www.sealife.go.kr/

반응형

공유

댓글

Web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