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성형한 얼굴은 왜 비슷한가?

얼마 전 지인의 결혼식에 참가하게 되었는데 신부 측 친구가 아주 비슷한 얼굴이 있어 쌍둥이 자매인가 알았는데 알고 보니 둘 다 성형을 했는데 얼굴이 많이 닮았다고 하더군요.


일반적으로 성형은 이쁘게 꾸밈과 자기만족이라 얘긴 들었지만 제가 보기엔 비슷한 얼굴이라 개성이 더 없어 보였지만 하객의 남자들은 이쁘다고 얘기하더군요.

어떤 얼굴이 이쁠까 하고 찾아보니 얼굴을 매력적으로 만드는 요인은 평균성이라고 얘기하더군요


즉 한국 20대 얼굴의 평균이 제일 이쁜 얼굴이라 합니다. 그래서 방송에서 얘기하듯이 많은 연예인의 얼굴 합성이 제일 이쁘고 잘생긴 얼굴이고 합니다.


얼굴을 매력적으로 만드는 요인으로 평균성이라고 합니다.

남자연예인 평균얼굴


여러 얼굴의 평균이 각각의 얼굴보다 매력적하고

- 개체군의 중심경향은 ‘자연선택에 의한 최적의 설계’를 반영하기 때문합니다.

각 부위가 너무 크거나 작지 않은 얼굴 = 자연선택에 의해 진화해 온 최적의 상태

더 많은 얼굴을 합성할수록 매력도 증가한다고 합니다


쉽게 얘기한다면 이런 얼굴이 됩니다(5명의 평균 얼굴)


하지만 Nature에 실렸던 평균적인 얼굴이 아름답다는 이론기사에서는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즉 평균적이라는 것이 매력을 완전하게 설명할 수는 없다. 초매력적인 얼굴을 15명에서 추출해서 합성하면 일반적인 얼굴 60명을 합성해서 하나의 얼굴을 만든 것보다 훨씬 매력적이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얼굴을 더 추가로 합성하면 할 수록 그 최종 합성얼굴은 더 매력적으로 되기는 한다" 이렇게 다소 애매하게 내용을 쓰고 있습니다.


현재의 미용 성형 수술을 할 때 의사들이 참고하는 각종 비율이나 각도(얼굴이 상중하가 1:1:1로 나누어진다든지 하는 오래된 잘못된 미에 대한 관념 또는 기준) 허구적인 황금비와 같은 미에 대한 과거의 기준들이 이제는 더이상 매력과 미의 기준이 될 수 없는데도 불구하고 많은 의사들이 현재에도 그것을 참고해서 미용 성형 수술을 하고 대중들이 그러한 기준에 부지불식간에 관념이 왜곡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수술 후에 사람들의 얼굴이 거의 비슷 비슷한 얼굴이 되고, 매력적이라기 보다는 평균성에 가깝게 됩니다. 물론 그런 기준으로 성형을 하면, 성형수술전보다는 조금은 더 아름답게 되기는 하지만, 자신만의 개성을 잃게 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제 시대는 평균적으로 보편적인 아름다움에서, 개성이 있는 매력적인 얼굴로 그 미의 기준의 패러다임은 바뀌고 있습니다. 인터넷이나 책이나 매스미디어가 이야기하는, 성형 시술을 하는 의사들이 가진 고전적인 미의 기준들에 대해서 그대로 믿지 마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건강&리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족(싱글족)이 조심해야 하는 부분  (0) 2017.11.11
당신은 매운맛을 아는가?  (0) 2017.11.09
물2리터와 물 중독  (0) 2017.08.11
녹차를 마시는 6 가지 이유  (0) 2017.08.10
냉장고 음식보관법 정리  (0) 2017.08.09

공유

댓글

Web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