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대형참사 화재사건

인천 영흥도 해상에서 전복된 낚싯배 실종자 사건이 오늘로써 마무리를 짓는다고 합니다. 요즘 사고를 보면 대부분이 인재사고이고 불감증인 사고가 잦습니다. 이제 날씨도 춥고 또한 겨울철 되니 화재사건이 두려워 경각심을 전하고자 큰 인명 피해 화재 사건을 올립니다.


대연각호텔 화재(1971년 12월25일)

인명피해: 사망163명, 부상63명

대연각호텔 2층 커피숍에서 프로판가스가 터지면서 발생한 불은 건물 전체로 옮겨 붙으면서 10시간 동안 계속됐고 이 불로 163명이 숨졌읍니다. 이 가운데는 뜨거운 불길을 견디지 못하고 고층에서 몸을 던져 사망한 사람도 38명이나 됐으며 이 모습을 TV생중계로 지켜보던 국민들은 발을 동동 구르며 안타까워했는데요 당시 열악한 소방시설로는 진화·구조가 불가능하자 대통령 전용헬리콥터를 비롯 미8군 헬리콥터까지 투입됐읍니다.


논산 정신병원 화재(1993.4.19)

인명피해 : 사망​34명, 부상2명

1993년 4월 19일 한 개인 정신병원에 불이 나서 34명이나 되는 귀한 목숨을 잃었는데요 사망자가 많았던 이유는 당시의 언론 보도를 종합해 보면 허가 받은 병상의 두 배가 넘는 환자에다 관리 인원은 규정보다 훨씬 적었으며 환자의 손발을 묶어 두어 대피가 어려웠고, 시설 특성상 출입문을 쉽게 여닫을 수 없게 만들어 둔 것도 원인이었다고 합니다 평소 긴급대피를 위한 체계나 준비가 없었던 것은 더 말할 것도(!) 없었다.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사고(1999.6.30)

인명피해 : 사망23명, 부상6명


1999년 6월 30일 새벽 경기도 화성군 서신면 백미리(현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백미리)에 있는 청소년 수련시설인 '놀이동산 씨랜드'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가 발생하여 잠자고 있던 유치원생 19명과 인솔교사 및 강사 4명 등 23명이 숨지고 5명이 부상당하는 참사가 일어났읍니다.

사고 당시 현장에는 서울 소망유치원생 42명, 서울 공릉미술학원생 132명, 안양 예그린유치원생 65명, 부천 열린유치원생 99명, 화성 마도초등학교 학생 42명 등 497명의 어린이와 인솔교사 47명 등 모두 544명이 있었읍니다.

불법 증축에 똬리를 튼 사회 비리, 안전점검 관리 소홀 및 주먹구구식 보수, 골든타임을 날려버린 무능한 대처, 관계자들의 솜방망이 처벌 등 한국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점이 고스란히 드러난 사건이었읍니다.


이 사고로 두 쌍둥이 딸을 잃은 고석 씨는 한국어린이안전재단을 설립하여 어린이 안전 운동가로 활동하고 있다고 하고 아시안게임 금메달리스트로 이름이 높았던 전 대한민국 국가대표 하키선수였던 김순덕 씨는 이 사건으로 아들을 잃고, "씨랜드 참사 4개월 만에 일어난 인천 상가 화재 참사를 보니 미련이 남지 않는다"고 모든 훈장과 메달을 반납하고

"한국에선 살고 싶지 않다"고 밝힌 뒤 뉴질랜드고 이민하였다고 합니다.



인천 인현동 호프집 화재(1999.10.30)

인명피해 : 사망56명, 부상78명

말이 많았던 사건인데요,1999년 인천 호프집 화재사건

“(1999년 10월) 30일 오후 6시 55분 경 인천 중구 인현동 119 4층짜리 상가건물 지하 ‘히트 노래방’에서 불이 나 이 건물 2층 ‘라이브Ⅱ 호프집’ 등으로 번지면서 술을 마시던 중고교생 등이 유독가스에 질식해 사망 했습니다

이날 사망자는 56명. 대부분 고교생이었는데요 불은 노래방 내부수리 공사장에서 시작돼 계단을 타고 2층과 3층으로 번졌고 학생들로 빼곡했던 2층 호프집엔 방화시설도 비상구도 없었다고 합니다 화재는 30여 분만에 진압됐지만 사상자가 많을 수밖에 없었던 예고된 참사였읍니다.

여기에 또 다른 이유가 있었는데 화재가 발생했을 때 청소년들이 빠져나가려 하자 호프집 관계자가 ‘술값을 내라’며 막아선 거였읍니다. 이런 정황은 참사 직후 정황을 재구성한 대화입니다.

“빨리 나와.” “지금 못 나가. 나가지 못하게 해.” 화재 직전 사고 현장에서 다행히 밖으로 나간 오 모 군이 친구들과 술을 마시다 목숨을 잃은 최 모 군과 통화한 내용이었고 최 군은 “무슨 이유인지 모르지만 누군가 친구들을 붙잡고 있는 것 같았다”고 전했고 이후 참사를 수사한 인천지검은 화재 당시 호프집 관계자가 술값을 받기 위해 출입문을 막은 사실을 밝혀냈읍니다

인천 호프집 화재 참사를 보도한 동아일보 1999년 11월 1일자 1면.

이 사건이 충격적이었던 건 대형 인명피해 외에도 심각한 사회 문제가 잇달아 드러난 데 있다. 참사가 발생한 호프집은 무허가로 영업을 하다가 폐쇄 명령을 받고도 불법 영업을 해왔다. 경찰과 구청의 단속도 소방관서의 소방 점검도 형식적이었다. 눈가림 행정은 어이없는 참사로 이어졌다. 여기에 호프집의 실질 소유주가 공무원에 정기적으로 뇌물을 상납했다는 사실까지 드러났다. 동아일보는 호프집 소유주의 전 경리사원을 만나 “(소유주가) 영업을 계속하기 위해 경찰 구청 공무원 등에게 매달 2000만 원 정도씩 상납하고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는 내용. 종적을 감췄던 소유주는 화재 나흘 뒤 자수했고 경찰과 구청 등의 직원에게 돈을 건넨 사실도 시인했다. 


반응형

'건강&리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들이 선물 베스트  (0) 2017.12.14
정전기 없애는법  (0) 2017.12.05
WD-40 다목적 사용도  (0) 2017.12.04
전기차 충전방법 전기차선택  (0) 2017.12.04
전기차 구입·운영비  (0) 2017.12.04

공유

댓글

Web Analytics